2024년 3월 30일부터 개통한 GTX-A 노선의 열차시간표입니다. 전체노선이 아닌 극히 일부구간(32.8km)만 개통한 상태입니다. 또한 현재 성남과 동탄 사이에 있는 구성역은 개통구간 내에 있는 역임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 중으로 개통이 늦어질 예정입니다. 수서~동탄 간 소요시간은 15분으로 고속열차 SRT의 21분과 비교하여 크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GTX는 일반 지하철보다 더 깊은 대도심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타는 곳까지 이동하는데 시간이 다소 소요된다는 것을 감안하셔야 합니다. 운임은 수서~동탄간이 4,450원으로 SRT 최저운임인 7,400원의 40% 수준, 환승까지 반영하면 약 50%로 책정되었습니다. GTX-A노선 열차시간표 (2024. 3. 30. 현재) 수서→성남→동탄 수서역(..
동해선 수서고속열차 시간표입니다. 경부선과 호남선에만 운행을 하던 SRT(수서고속열차)가 9월 1일부터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으로도 운행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동해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서울~포항 간을 운행하고 있었는데요. 비록 왕복 4개 열차지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경쟁체제로 인해 서비스의 질은 더 나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동해선 SRT 시간표 (2023. 9. 1. 현재)수서→포항정차역391열차393열차수서06:3016:34동탄06:4716:52평택지제-17:02천안아산--오송07:11-대전07:3017:34김천구미-17:58동대구08:1618:25포항08:5119:01정차역391열차393열차 동해선 SRT 시간표 (2023. 9. 1. 현재)포항→수서정차역392열차394열차포항09:..
2023년 9월 1일부터 수서고속철도 운영사업자인 에스알은 그동안 영업을 해 오던 경부선과 호남선에 이어 동해선, 경전선 그리고 전라선에서도 영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운행열차는 상하행 각 2개열차로 많지 않으며, 익산~여수엑스포 간을 저속으로 운행하기에 일반열차와 비교하여 소요시간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음은 전라선 SRT의 시간표입니다. 전라선 SRT 시간표 (2023. 9. 1. 현재)수서→여수엑스포정차역681열차683열차수서10:2019:08동탄10:3719:26평택지제10:4719:36천안아산11:00-오송11:1219:56공주11:2920:13익산11:5120:35전주12:0820:51남원12:3521:19곡성12:4521:29구례구12:5721:40순천13:1321:56여천13:27..
동해선, 전라선 그리고 경전선까지 SRT를 운행하게 된 에스알은 그야말로 주요노선을 다 운영하는 철도사업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차량을 새로 발주하지 않고 경부선 운행차량을 줄여서 다른 노선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아랫돌 빼서 윗돌 괸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아 보입니다. 차량은 2개열차를 투입하고, 소요시간은 약 3시간 30여분으로 비교적 긴 편입니다. 이는 동대구~진주 구간이 고속전용선이 아닌 기존선이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23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하는 경전선 SRT 시간표입니다. 경전선 SRT 시간표 (2023. 9. 1. 현재)수서→진주정차역381열차383열차수서12:0419:25동탄12:2119:43평택지제12:3119:53천안아산12:44-오송-20:11대전13:0920:29김천구미13..
서대구역은 고속열차 전용역이지만 2024년 개통 예정인 대구~구미간 대구권 광역전철의 정차역이기도 합니다. 또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서대구~의성간 대구 경북선 광역철도노선의 기점이 될 예정입니다. 역사는 대부분의 건축비를 대구시가 부담한 탓(?)인지 시화인 목련꽃과 대표산이라고 할 수 있는 팔공산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을 곳곳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 정차열차는 KTX가 하루 28회(상하행 각 14회), SRT가 10회(상하행 각 5회)로 총 38회 정차하는데요. 적은 이용객 때문인지 상업시설은 스토리웨이 편의점 외 몇 개 업체만 입점한 상태입니다. 서대구역 열차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열차번호(열차종류)서대구역출발시각종착역(도착시각)비고5(KTX)07:46부산08:..
중부내륙선은 경기도 이천의 부발역에서 경북 문경을 잇는 노선입니다. 노선의 일부 구간인 부발~충주구간만 우선 개통하고, 충주에서 문경까지의 나머지 구간은 2023년 말까지 개통할 예정입니다. 이 노선을 이용하여 서울로 가기 위해서는 환승을 두 번이나 해야 하는데요. 직통으로 갈 수 있는 고속버스에 비해 접근성면에서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고 보입니다. 운행횟수는 KTX-이음 고속열차가 하루 4회(왕복8회)로 다소 적어 보이는데요. 이용객의 증가에 따라 탄력적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중부내륙선 KTX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부발→충주열차번호(열차종류)부발가남감곡장호원앙성온천충주731(KTX-이음)07:5208:0008:0808:1708:27733(KTX-이음)12:4012:4812:..
1월 5일부터 청량리~안동간 KTX-이음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중앙선도 고속열차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는데요. KTX-이음은 6량 1편성, 최고속도는 260km/h(EMU-260)로 각 객차마다 동력을 분산한 동력분산형 고속열차입니다. 주요 정차역은 청량리, 원주, 제천, 영주, 안동이며, 강릉선 노선이 중복되는 청량리~서원주 구간은 KTX-산천에게, 독자노선인 원주~안동간은 KTX-이음이 집중 정차하면서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3시간거리인 청량리~안동간을 1시간이상 단축시키며 제천, 영주, 안동지역을 반나절생활권으로 들어오게 하였습니다. 중앙선 KTX시간표(하행) (2023. 12. 29. 현재)서울/청량리→안동열차번호(열차종류)서울청량리원주제천영주안동701(KTX-이음)-05:3..
강릉선의 연장이기도 한 영동선의 일부구간인 강릉~동해간을 운행하는 셔틀열차 시간표입니다. 이 셔틀열차는 서울-동해간 강릉선 KTX 개통에 맞춰 신설되었는데요. KTX 중 일부가 강릉역에서 동해역까지 연장운행하지 않고 정동진을 경유하다보니 강릉역과 동해역간 연계교통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셔틀열차는 4량 고정편성의 누리로가 투입하게 되었는데요. 기존에 운행하던 바다열차와 영동선에 KTX와 셔틀열차까지 더해지니 교통편의성은 한층 나아지고 활력도 생길듯 합니다. 또한 이 구간은 바다열차와 대부분의 구간이 겹치므로 꼭 연계수송으로 이용하지 않더라도 관광열차 기분을 한 것 느낄 수 있습니다. 영동선 셔틀열차 시간표 (2023. 9. 1. 현재)강릉→동해열차번호(열차종류)강릉정동진묵호동해1822(누리로)06..
하루 4회 왕복하는 동해행 KTX는 기존의 강릉행 열차가 연장하여 운행하는 것이 아니라 강릉선과 영동선을 연결한 신선을 이용하게 됩니다. 즉, 같은 강릉선이지만 목적지만 다르다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강릉역에서 연장하여 동해역까지 운행하면 여러모로 좋겠지만 지하역사인 강릉역의 선로사정 등 불가피한 점으로 인해 새로운 선로을 이용하는 방법을 택했다고 하네요. 아뭏든 비록 운행횟수가 많지는 않지만 동해로 바로가는 KTX가 개통되고, 여기에 강릉↔동해간을 연계셔틀열차가 추가로 투입될 예정이니 동해안 접근성은 훨씬 좋아질 듯 합니다. ※ 강릉선 KTX시간표는 강릉과 동해로 종착역이 이원화 됨에 따라 아래 통합시간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강릉선(서울↔강릉,동해) KTX-이음 통합시간표 강릉선 KTX시간표입니다. ..
광주에서 개최되는 2019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지원하기 위해 인천공항터미널에서 광주송정역간 KTX가 임시운행됩니다. 세계수영선수권대회는 2019.7.12~28일까지 17일간 열리는데요. 이 기간중 인천공항터미널에서 광주간 직통KTX는 대회개최 이틀전인 7월 9일부터 폐회 다음날인 7월 29일까지 20일간 임시운행하게 됩니다. 운행횟수는 하루에 하행4회, 상행 3회로 왕복7회 운행합니다. KTX운임은 제2터미널에서 광주송정역까지 6만원, 제1터미널에서는 59,400원입니다. 한편, 수영대회 입장권을 KTX역의 여행센터에서도 구입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직통KTX는 수영선수권대회가 개최되는 기간동안만 임시운행하는 것이니 평소에는 서울역에서 환승하셔야 합니다. ※ 2019.7.9~7.29까..
강릉선 KTX시간표입니다. 강원권의 일반열차가 대부분 청량리에서 출발하듯이 KTX역시 청량리역을 시종착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열차는 서울역과 행신에서 출발하니 지하철 환승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또한 동해행 KTX가 강릉과 동해를 모두 정차하는 것은 않으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즉, 일부열차는 강릉으로, 일부열차는 동해로 운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열차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강릉이나 동해로 가신 후 강릉~동해간을 운행하는 셔틀열차를 적절히 이용하시면 접근성은 훨씬 나아질 것입니다. 강릉선 KTX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서울/청량리→강릉/동해열차번호(열차종류)서울청량리강릉정동진동해801(KTX-이음)05:1105:3207:08--803(KTX-이음)06:0106:220..
서울에서 인천공항으로 가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서울도심에서 서울역을 경유하여 공항까지 가는 리무진버스도 있지만 열차만을 이용할 경우엔 공항철도가 운영하는 일반열차와 직통열차, 그리고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KTX고속열차가 있습니다. 이 열차들은 저마다 장단점이 있는데요. 일반열차는 광역전철과 같이 좌석지정 없이 중간 경유역을 모두 정차하고, 직통열차는 지정된 좌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무정차로 인천공항까지 운행합니다. 반면에 KTX는 서울역이나 용산역을 경유하여 직통열차처럼 공항까지 무정차로 연계하여 운행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해 보았으니 열차이용에 앞서 잘 비교해 보신 후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인천국제공항 운행열차 장단점 비교 이 운임표는 2017.9.1 기준이며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