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네이버지도에서 기차표를 예매하고 예매한 승차권을 확인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이렇게 예매한 승차권을 취소해야 할 상황도 생기게 됩니다. 일정이 취소되었거나 다른 열차로 변경해야 될 경우인데요. 모바일승차권의 변경은 역창구를 제외하곤 코레일톡 앱에서만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변경의 경우엔 승차권을 취소 후 다시 예매를 진행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예매한 승차권을 취소하는 과정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예매한 승차권을 확인하여 취소해야 하기 때문에 바로 이전 글과 다소 겹치는 부분이 있다는 것 양해드립니다. 참고로 승차권의 취소는 예약한 곳에서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PC화면에서 예약했다면 PC화면에서, 모바일 앱에서 예약했다면 모바일에서 취소가 가능합니다. 다만, 모..
이전 글에서 플랫폼을 이용한 철도승차권 예매를 알아보았는데요. 상기하자면 네이버는 PC 홈페이지, 모바일 홈페이지(또는 네이버 앱), 그리고 지도 앱을 통해 기차표를 예매할 수 있고 그 구입 과정을 설명드렸습니다. 오늘은 예매한 승차권을 어디에서 확인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예매를 마치면 승차권이 바로 보이지만 일단 예매페이지를 빠져나오기라도 한다면 다시 찾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더욱이 열차 탑승을 앞두고 확인하려면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네이버는 지도앱을 기반으로 예매가 진행되므로 승차권을 찾을 때도 예매를 어디에서 진행했든 확인은 지도 앱을 이용하는 것이 빠르고 편리합니다. 승차권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은 네이버 지도앱, 모바일 웹, 그리고 PC 홈페이지 이렇게 세 곳입니다. 하지만 열차 탑승을 위해서는..
기차표를 예매할 수 있는 방법은 참으로 다양합니다. 현장구입, 자동발매기, 대리점, 홈페이지, 고객센터, 차내승무원(무인역 승차의 경우) 그리고 현재 온라인 구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코레일톡 앱을 통한 구입이 있습니다. 이제는 여기에 네이버, 카카오, 가지, 구글, 야놀자, 트립닷컴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예매가 추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플랫폼을 통한 예매를 하나씩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네이버를 이용한 기차표 예매입니다. 네이버는 PC홈페이지에서 예매하든, 모바일 홈페이지 예매하든 지도앱을 기반으로 예매가 진행됩니다. 따라서 설명은 지도앱을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네이버 지도앱에서는 '기차 조회·예매'라는 별도의 메뉴를 통해서 예매를 진행하지만 PC화면이나 모바일웹을 통한 예매는 검색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