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등록고객서비스(비회원)를 이용해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승차권을 구입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알아 봤는데요.복습차원에서 정리하자면 미등록고객서비스는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으로 로그인을 하지않고 일회성 정보입력만으로 승차권예매서비스를 이용하는것입니다.그럼 이번에는 승차권예매 앱인 코레일톡에서 미등록고객서비스(비회원)를 이용해 기차표를 구입하는 방법입니다. 앱으로 구입한다고 해서 절대 더 어렵거나 복잡하지는 않으니 걱정은 휴가보내버리고 하나씩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 잠깐!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은 로그인을 미리 해놓고 예매를 진행할 수 있지만 미등록고객은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일단 예매를 진행하시다가 위와 같은 미등록고객 메뉴가 나올 경우 미등록고객을 선택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 코레일톡플러스 앱..
미등록고객서비스(비회원)는 철도회원(코레일멤버십)에 가입하지 않고 승차권 예매 등 철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이전글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미등록고객서비스를 이용해 레츠코레일홈페이지에서 직접 승차권을 구입해 보겠습니다.그림이 많아서 다소 어렵지 않을까 생각되겠지만 직접 한번 해보시면 의외로 간단하답니다. 미등록고객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가장 중요한 한가지만 기억하세요~바로 ' 로그인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기억'하는 것입니다. 왜 그런지는 다음 글-'미등록고객서비스로 구입한 승차권이 보이지 않을 때'에서 상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레츠코레일(letskorail.com)에 접속하여 승차권 - 미등록고객서비스 - 승차권예약을 선택합니다. ▲ 자신의 여정에 맞게 인원, 좌석방향, ..
미등록고객서비스로 승차권을 예매하는 방법을 알아보기에 앞서 '미등록고객'이란 용어에 대해 살짝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철도고객은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 일반회원, 등록고객, 미등록고객, 비회원 이렇게 다섯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생각보다 많죠? 이 구분이란 것이 저의 얕은 지식이지만 오~랜 경험을 토대로 미등록고객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정리해 본 것입니다. 제가 위와 같이 분류한 기준은 철도회원명부에 등재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철도서비스 제공측면에서 필요에 따라 다르게 불리운 것을 정리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코레일이 공식으로 분류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사용하지 않는 용어도 아니라는 것이지요. 따라서 미등록고객서비스를 이해하는데 참고는 충분히 될 것으로 감히 생각합니다...
선물하기를 통해 받은 승차권은 대부분 스마트폰앱(코레일톡)을 통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발권해서 보낸 선물과 달리 예약해서 보낸 승차권은 비회원(미등록고객)이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역창구를 방문해야 합니다. 이 경우 선물받은 사람의 문자에 있는 예약번호와 비밀번호5자리가 선물받은 승차권 발권에 이용됩니다. 이렇게 역창구를 방문하여 승차권을 찾게 되면(발권) 스마트티켓이 아닌 종이승차권을 받게 되는데요. 예약승차권을 비회원에게 선물하는 경우는 보통 다음과 같은 경우에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대부분 연로하신 부모님이나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선물을 보낼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예약승차권을 비회원에게 선물하는 경우- 선물받을 사람이 철도회원이 아닌 경우(비회원, 미등록고객)- 선물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