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선은 용산과 백마고지를 잇는 노선이지만 통근열차는 동두천에서 백마고지까지 운행합니다.운임은 거리에 관계없이 어른이 1,000원, 경로와 어린이는 500원으로 단일운임체계로 지정되어 수수하고 있습니다. 승차권은 자유석만 있는 도시형통근열차(CDC)기 때문에 홈페이지, 코레일톡에서는 구입을 할 수 없고 역창구를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2014년 5월부터 경의선이 통근열차의 운행을 중단하고 새마을호 특실운임 체계의 관광열차인 DMZ-train(디엠지트레인, 평화열차)으로 대체운행을 하게 되면서 이제는 유일하게 통근열차가 운행하는 노선으로 남아 있게 되었습니다. 비록 빠른 속도도, 최신시설도 아니지만 마지막 남은 통근열차를 타고서 향수를 느껴보세요. 자~ 아이들 손잡고 나들이 어떠세요? 경원선 통근열..
ITX-새마을이 내구연한이 다된 P.P형 새마을호 디젤동차를 대신해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에서 먼저 투입되어 안정적으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항선은 아쉽게도 기존 새마을호의 디젤동차 객실을 디젤기관차로 견인하여 운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장항선만 기존의 새마을호가 운행하는 것은 전기동차로 견인하여 운행하는 ITX-새마을이 신창역까지만 전철화작업이 되어 있고 나머지 구간은 비전철화 구간인 노선을 다닐 수 없기 때문입니다. 현재 복선전철화 공사를 완료한 구간은 일부이기 때문에 당분간(몇년은...)은 무궁화호와 기존 새마을호가 운행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주요역만 안내합니다. 장항선 일반열차 시간표(상행)(2023. 9. 1. 현재)익산/장항→용산열차번호(열차종류)익산장항천안용산1552(무궁화)0..
장항선은 1922년 충남선이라는 노선명으로 천안에서 온양온천까지 개통되었고, 1955년 지금의 장항선이라는 이름으로 개명하였습니다. 근래 장항선의 가장 큰 변화는 그동안 천안에서 장항까지 운행되던 노선이 2008년 금강으로 인해 단절되어 있던 장항선과 군산선이 직결되면서 장항선은 17.5KM가 연장되었습니다. 이렇게 연장되면서 군산은 자연스럽게 장항선에 편입하게 되었고, 익산까지 가는 길도 두 가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가장 큰 변화는 현재 천안~신창까지만 복선전철화 작업이 되어 있는 구간을 익산까지 연장하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복선으로 인해 좀 더 원활한 운행과 전철화 작업으로 ITX-새마을의 운행이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주요역만 안내합니다. 장항선 일반열차 시간표(하행) (..
2014년 6월 30일부터 KTX의 인천공항 연장운행과 지난 5월 12일에 ITX-새마을로 일부 교체되지 않았던 새마을호가 이번에 전면교체 운행하게 되어 이를 반영한 시간표입니다. 전차선이 가설되어 있지 않아 디젤기관차만 다닐 수 있는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새마을호가 KTX-새마을로 교체되었습니다. 호남선은 새마을호가 모두 교체되었습니다. 기존 새마을호를 대신해 ITX-새마을로 차량만 바뀐것이 아니라 일부 다른 열차의 시간도 변경되었으므로 일정 시간대를 정기적으로 이용하시는 분들은 운행시간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호남선 일반열차 시간표(상행) (2023. 9. 1. 현재)목포, 광주송정→용산열차번호(열차종류)목포광주송정익산서대전수원용산1442(무궁화)익산 출발05:3006:3908:1..
호남선 ITX-새마을과 무궁화호 열차 운행 시간표입니다.KTX와 SRT 등 고속열차시간표와 이 글 아래에 있는 관련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호남선은 대전조차장에서 목포를 잇는 노선지만 실제 열차는 용산에서 목포간을 운행하는데요. 그렇다고 전체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일반열차를 이용할 경우 환승을 한 두 번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특히, 목포에서 출발하지 않는 일반열차는 대부분 광주역에서 출발하여 장성역을 경유하므로 광주송정역을 우회하게 됩니다. 따라서 광주시내에서 광주송정역으로 이동하기 위해선 도시철도나 광주역에서 출발하는 셔틀열차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호남선 일반열차 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목포, 광주송정→용산열차번호(열차종류)용산수원..
전라선을 운행하는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의 운행시간표입니다. 전라선은 익산~여수엑스포간 노선으로 전라남북도에 이르는 주요 간선철도인데요. 열차의 실제운행은 용산~여수엑스포간 약 350km에 이릅니다. 익산까지는 호남선, 장항선 열차와 운행구간이 겹치므로 KTX나 일반열차와의 환승을 적절히 이용하면 열차이용에 한결 선택의 기회가 많을 것입니다. 전라선 일반열차 시간표(상행) (2023. 9. 1. 현재)여수엑스포 → 용산열차번호(열차종류)여수엑스포순천전주익산수원용산1502(무궁화)06:2006:4408:0108:2211:1011:421532(무궁화)07:3808:0209:2609:44익산 종착1082(ITX-새)08:1208:3509:4410:0112:1612:501534(무궁화)08:58..
전라선을 운행하는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의 하행 운행시간표입니다. 전라선은 익산~여수엑스포간 노선으로 전라남북도에 이르는 주요간선철도인데요. 열차의 실제운행은 용산~여수엑스포간 약 350km에 이릅니다. 익산까지는 호남선, 장항선 열차와 운행구간이 겹치므로 환승을 적절히 이용하면 열차이용에 한결 선택의 기회가 많을 것입니다. 이 시간표는 여행일정을 짜는데 참고하기 위한 것으로 정차역은 주요역만 표시되었습니다. 가능한 스마트폰에 승차권예약 앱인 코레일톡을 설치하시고 실시한 열차시간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라선 일반열차 시간표(하행) (2023. 4. 15. 현재)용산 → 여수엑스포열차번호(열차종류)용산수원익산전주순천여수엑스포1531(무궁화)익산 출발06:4307:0208:1808:411..
열차의 운행횟수로 보나 이용객의 수로 보나 단연 국내 최대, 최고의 간선철도노선으로 호남선, 전라선 등 다른 간선노선의 주축이 되는 노선이기도 합니다. 이 시간표는 기존노선으로 운행하는 무궁화호와 ITX-새마을 등 일반열차에 대한 시간표입니다. 같은 목적지를 두고 고속선과 일반노선이 공존하기 때문에 소요시간과 운임을 비교하여 유리한 열차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포항으로 가는 일반열차는 동해선에 KTX가 투입되면서 운행을 중단했으므로 KTX를 이용하거나, 일반열차를 이용할 경우 동대구역에서 대구선 열차로 환승하시기 바랍니다. 경부선 일반열차 시간표(상행) (2023. 9. 1. 현재)부산→서울열차번호(열차종류)부산동대구대전수원서울1346(누리로)05:5607:19동대구 종착1312(무궁화)*월..
누리로, 무궁화호, ITX-새마을 등 기존선으로 운행하는 일반열차의 시간표입니다. 일부열차의 경우 간이역까지 정차하는 관계로 주요역 정차시간만 안내해 드립니다. 가능한 코레일톡 앱이나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실시간 시간표를 확인하시기 바람직 합니다. 이 시간표는 전체시간표를 한번에 볼 수 있는 만큼, 여행계획을 짜실 때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만든 것입니다.KTX 고속열차와 일반열차의 운임과 소요시간은 많게는 2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시간과 기회비용을 비교하여 적절히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경부선 일반열차 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서울→부산열차번호(열차종류)서울수원대전동대구부산1341(무궁화)★월~금동대구 출발06:0007:401343(무궁화)동대구 출발07:0908:481351(무궁화..
기차로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역까지 가는 방법은 공항철도가 운영하는 일반열차와 직통열차가 있습니다. 인천공항까지 연장운행하던 KTX고속열차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고 기존의 종착역인 서울, 용산역까지만 운행하므로 여행일정을 잡을 때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역까지 가는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는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요.소요시간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만 운임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많이 납니다. 아래표에 간단히 정리를 해보았으니 상황에 따라 편리하고 유리한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인천공항터미널 운행열차 비교 (2025. 4. 28. 현재)제 1터미널 기준구분직통열차일반열차소요시간약 43분(약 51분)약 59분(약 67분)운임요금13,000원(동일)4,450원(5,050원)특징소..
동해선 광역전철 전동차시간표입니다.동해선이라고해서 현재 서울~포항간 KTX 노선과는 관계가 없는데요. 오히려 기존의 동해남부선 노선과 겹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동해선 광역전철은 태화강~부전간 노선입니다. 같은 구간을 대구선 일반열차도 일부 운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행일정에 맞지 않을 경우 일반열차와 광역전철을 적절히 환승하실것을 추천합니다. 대구선을 운행하는 간선철도 일반열차시간표는 이 글 아래에 있는 관련 글 링크를 참고하세요. 동해선 전동차 시간표(평일/상행) (2023. 4. 15. 현재)태화강/망양 → 부전열차번호(열차종류)태화강신해운대부전K8652(전동차)망양 출발(05:20)05:5906:23K8654(전동차)망양 출발(05:35)06:1406:38K8502(전동차)05:..
군장병이나 군무원이 휴가를 나와 철도를 무료로 이용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드린 바 있습니다.하지만 정기휴가는 휴가비를 받고 나오기 때문에 무료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국방부가 한국철도공사로부터 객차의 일부를 전세내어 군인들의 육상이동에 편의를 제공하는 군전세객차를 이용하면 되니까요. 흔히 군용열차라고도하는데, 군용열차는 모든 객차를 군인들만 탈 수 있도록 전용한 것으로 이제는 정기열차는 없고 특별한 경우 임시 전세군용열차로만 운행합니다. 군인전세객차의 이용방법은 국방수송정보체계(www.dtis.mil.kr)에 접속하여 미리 자신의 휴가일정에 맞는 열차를 신청해야 합니다. DTIS(국방수송정보체계)에서는 회원만 신청할 수 있으며, 회원은 반드시 내부전산망(군인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