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선은 제천~백산간 노선으로 중앙선과 영동선을 잇는 지선입니다. 하지만 실제 열차는 제천역을 출발 태백역을 경유하여 동해역까지 운행합니다. 운행구간의 빼어난 자연경관이 조금은 느린 운행속도가 오히려 고마운 구간이기도 하죠. 운행열차는 많지 않은 편인데요. 다소 소요시간이 길지만 중앙선과 영동선의 접속역인 영주역을 경유하여 환승한다면 부족한 열차편의 아쉬움을 조금은 달랠 수 있습니다. 또한 강릉선 KTX를 이용하여 서울역이나 강릉역으로 우회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강릉선 KTX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강릉~동해 간 셔틀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태백선 열차시간표 (2023. 9. 1. 현재) 제천→동해 열차 번호 1631 (무) 1633 (무) 1635 (무) 1641 (무) 1191 ..
중앙선은 청량리역과 경주역까지 우리국토의 축을 이루는 노선 중 하나입니다. 370km가 넘는 꽤 긴 노선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긴 노선이기에 중앙선을 중심으로는 크고 작은 많은 지선들이 함께 하는데요.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개최에 맞춰 개통된 강릉선은 서원주에서 분기하여 강릉과 동해까지 KTX가 운행하게 되었습니다. 이외에도 제천에서 분기하는 태백선과 충북선이 있으며 경북선과 대구선 역시 중앙선에서 분기하는 노선입니다. 2021년에는 중앙선에 고속화전철 개량공사가 안동까지 완료되면서 신형고속차량인 KTX-이음이 중앙선에 처음 투입되어 영업을 시작하게 된 것도 큰 의미가 있다 하겠습니다. ※ 주요역만 안내합니다. 중앙선 일반열차 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 청량리→부전/동해/안동 열차번..
영동선은 영주와 동해를 잇는 구간입니다. 코레일의 가장 인기있는 브이트레인, 오트레인, 바다열차 등 관광열차가 주로 이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일반열차로 여행을 해도 그 자체가 힐링이 되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이 열차시간표는 코레일의 홈페이지나 승차권구입 어플인 '코레일톡'에서 제공하는 시간표와 달리 모든열차의 역별 출발시간을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시간표는 코레일의 사정으로 시간표가 변동될 경우에 즉시 반영하고 있습니다만 사정상 하루이틀 정도 차이는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영동선 열차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 동해→영주 열차번호 (열차종류) 1680 (무궁화) 1671 (무궁화) 1681 (무궁화) 1673 (무궁화) 동해 06:08 11:02 15:51 1..
경전선은 삼랑진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구간입니다. 하지만 열차는 아래쪽 지도와 같이 남해안을 아우르며 부전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운행합니다. 즉, 경상도와 전라도를 가로지르는 열차죠^^ 경전선은 오른쪽으로는 경부본선으로, 왼쪽으로는 호남선과 전라선을 환승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열차시간표는 코레일의 홈페이지나 승차권 구입 어플인 '코레일톡'에서 제공하는 시간표와 달리 모든 열차의 역별 출발시간을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경전선 일반열차 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 부전 → 광주송정 열차번호 (열차종류) 부전 삼랑진 마산 진주 순천 보성 광주 송정 1971 (무궁화) 순천 출발 06:09 07:09 08:29 1951 (무궁화) 06:17 07:08 07:51 08:38 09..
대구선은 가천역에서 영천역까지의 노선이지만 실제 열차는 동해남부선을 경유하여 동대구역을 출발하여 동해, 포항, 태화강, 그리고 부전까지 운행하고 있습니다. 본선과 본선을 잇는 지선으로서 위로는 중앙선, 아래로는 동해남부선과 운행구간이 겹치는 관계로 단거리 운송과 수송량이 적당한 3~4량 1편성의 누리로와 무궁화호(때론 RDC)가 운행 중입니다. 2015년 4월 2일부터 포항까지 KTX가 개통하면서 그동안 서울에서 포항까지 직통으로 운행하던 새마을호 열차는 운행을 완전히 중지하게 되었고, 일반열차 역시 일부만 포항역까지 운행하고 있습니다. 대구선 열차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 동대구→포항/태화강/부전 열차번호 (열차종류) 시발역 (동대구) 하양 영천 종착역 1672 (무궁화) 06:05 ..
이 시간표는 대구선 열차시간표에서 '동해남부선 경유' 라고 언급한 부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대구선 열차시간표를 함께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동해남부선은 아래 그림(노선도 참조)과 같이 부산진역에서 포항역을 잇는 구간으로 철도영업거리는 145.8km입니다. 하지만 실제 열차는 부전역을 시종착역으로 하여 동대구역까지 운행을 합니다. 그 중 일부열차는 태화강까지만 운행을 하는데요. 이유는 태화강~부전구간은 광역전철로 환승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동해남부선 열차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 동대구→태화강/부전 열차번호 (열차종류) 동대구 신경주 태화강 신해운대 부전 1762 (무궁화) 포항 05:55 06:32 07:05 07:51 08:09 1771 (누리로) 07:43 08:37 09:03 태..
충북선은 조치원역에서 봉양역까지 운행하는 구간으로 철도영업거리는 137.5km입니다. 하지만 실제 열차는 대전역을 김점으로 조치원역을 경유하여 제천역까지 운행하게 됩니다. 경부선(서울~부산)을 타고 가다 충북선으로 환승할 경우 하행은 조치원역에서, 상행은 대전역이나 조치원에서 열차를 갈아타면 됩니다. 환승열차는 같으므로 대전역에서 환승하느냐, 조치원역에서 환승하느냐 선택의 문제일 뿐입니다. 주말에 상행열차를 이용하여 환승할 경우에는 경부선 좌석이 부족하므로 조치원에서 환승하기보다는 대전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대체로 유리합니다. 환승시간에 여유가 많을 경우엔 아무래도 편의시설이 많은 대전역이 기다리기가 좀 편하기도 하구요. 충북선 열차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 대전→제천 열차번호 (열차종류..
경북선은 김천역에서 영주역까지 운행하는 구간으로 2018년말까지는 부산역을 출발하여 영주역까지 하루에 3회 운행하였습니다. 하지만 2019년부터 2개의 정기열차를 더 추가하여 5회 운행하고, 주말에는 임시열차까지 총 편도 8개의 열차가 운행하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그동안 열차가 출퇴근시간에만 운행한 탓에 낮시간대에는 대중교통으로는 부득이 버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는데요. 이제는 5개의 열차가 배차간격을 고르게 유지하며 운행하게게되어 경북내륙권으로의 접근성이 한결 좋아졌습니다. 그동안 직통으로 이용하던 김천이남 이용객들은 다소 불편하겠지만 김천역에서 환승으로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경북선 열차시간표(하행) (2023. 9. 1. 현재) 운영사의 사정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핸드폰은 가로화면으로 보세요..
그동안 문산역을 출발하여 도라산역까지 운행하던 경의선 통근열차는 2014년 4월 30일을 끝으로 운행을 중지하고, 2014년 5월 1일부터 서울역에서 도라산역까지 CDC(도시형통근열차)를 개조한 DMZ평화열차 운행을 개시합니다. 운행횟수 역시 조정되어 하루 6회(왕복12회) 운행하던 통근열차와 달리 DMZ평화열차(디엠지열차)는 하루 2회(왕복 4회)운행합니다. ※ 남북분단의 상징인 비무장지대(DMZ)를 관광할 수 있는 DMZ평화열차에 대한 상세한 열차시간표와 운임은 아래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경의선 평화열차 DMZ-train(디엠지트레인) 시간표와 운임
경원선은 용산과 백마고지를 잇는 노선이지만 통근열차는 동두천에서 백마고지까지 운행합니다. 운임은 거리에 관계없이 어른이 1,000원, 경로와 어린이는 500원으로 단일운임체계로 지정되어 수수하고 있습니다. 승차권은 자유석만 있는 도시형통근열차(CDC)기 때문에 홈페이지, 코레일톡에서는 구입을 할 수 없고 역창구를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2014년 5월부터 경의선이 통근열차의 운행을 중단하고 새마을호 특실운임 체계의 관광열차인 DMZ-train(디엠지트레인, 평화열차)으로 대체운행을 하게 되면서 이제는 유일하게 통근열차가 운행하는 노선으로 남아 있게 되었습니다. 비록 빠른 속도도, 최신시설도 아니지만 마지막 남은 통근열차를 타고서 향수를 느껴보세요. 자~ 아이들 손잡고 나들이 어떠세요? 경원선 통근열차시간..
ITX-새마을이 내구연한이 다된 P.P형 새마을호 디젤동차를 대신해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에서 먼저 투입되어 안정적으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항선은 아쉽게도 기존 새마을호의 디젤동차 객실을 디젤기관차로 견인하여 운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장항선만 기존의 새마을호가 운행하는 것은 전기동차로 견인하여 운행하는 ITX-새마을이 신창역까지만 전철화작업이 되어 있고 나머지 구간은 비전철화 구간인 노선을 다닐 수 없기 때문입니다. 현재 복선전철화 공사를 완료한 구간은 일부이기 때문에 당분간(몇년은...)은 무궁화호와 기존 새마을호가 운행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주요역만 안내합니다. 장항선 일반열차 시간표(상행) (2023. 9. 1. 현재) 익산/장항→용산 열차번호 (열차종류) 익산 장항 천안 용산 1..
장항선은 1922년 충남선이라는 노선명으로 천안에서 온양온천까지 개통되었고, 1955년 지금의 장항선이라는 이름으로 개명하였습니다. 근래 장항선의 가장 큰 변화는 그동안 천안에서 장항까지 운행되던 노선이 2008년 금강으로 인해 단절되어 있던 장항선과 군산선이 직결되면서 장항선은 17.5KM가 연장되었습니다. 이렇게 연장되면서 군산은 자연스럽게 장항선에 편입하게 되었고, 익산까지 가는 길도 두 가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가장 큰 변화는 현재 천안~신창까지만 복선전철화 작업이 되어 있는 구간을 익산까지 연장하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복선으로 인해 좀 더 원활한 운행과 전철화 작업으로 ITX-새마을의 운행이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주요역만 안내합니다. 장항선 일반열차 시간표(하행)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