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츠코레일과 코레일톡의 로그인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코레일멤버십번호, 그리고 이메일주소와 휴대전화번호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메일주소와 휴대전화번호를 로그인 아이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리 인증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이미 회원정보에 이메일주소와 휴대전화번호가 있다하더라도 추가로 인증절차는 필요합니다. 물론 코레일멤버십 번호(아이디)로만 사용하겠다면 추가 인증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럼 우선 이메일주소 인증절차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이메일주소는 현재 회원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이메일주소와 꼭 같아야 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가능한 같은 것을 권장합니다. 이메일 인증절차를 거치게 되면 자연스럽게 등록 이메일주소가 변경됨과 동시에 로..
우리가 흔히 철도회원이라고 부르는 회원제도는 코레일멤버십이란 이름으로 함께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정식명칭은 코레일멤버십(Korailmembership)으로, 두 제도는 가입시기와 회원혜택 등에서 조금씩 다릅니다. 먼저 철도회원은 예약보관금 2만원을 내고 회원제도가 처음 생긴 1989.9월부터 2004.9.30일까지 가입한 회원이고, Korailmembership은 2007.1.10일부터 지금 현재까지 가입한 회원을 지칭합니다. 그외 철도회원에서 코레일멤버십으로 바뀌는 과정중인 2004.10.1~2007.1.9일까지 종신회비 2만원 또는 연회비 2천원을 내고 가입한 회원을 KTX Family회원이라 부릅니다. 2015년부터 예약보관금 2만원은 반환하고 있으며, 이제는 관리비나 카드제작비 등으로..
이번 서울역 코레일멤버십라운지(철도회원라운지)의 리뉴얼을 계기로 코레일에서는 용산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의 코레일멤버십라운지의 리뉴얼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라운지의 운영주체는 한국철도공사지만 관리와 파견직원은 주로 제휴를 맺은 대기업(주로 카드회사)에서 하고 있습니다. 이런 제휴는 코레일멤버십라운지마다 제휴업체가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휴를 맺은 기업의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는 아래와 같이 레츠코레일(letskorail.com)에서 별도의 등록절차 없이 출입이 가능합니다. 그럼 이 코레일멤버십라운지의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까요? ■ 이용대상 - 코레일멤버십 카드(철도회원카드)를 소지한 고객 -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으로 카드를 소지하지 않았지만 신용카드를 출입등록한 ..
요즘 사회적 이슈인 금융권의 개인정보 유출은 그 어느 때보다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업의 윤리의식과 보안책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코레일에서도 회원의 개인정보 보호 및 도용방지를 위해 코레일홈페이지 및 코레일톡(스마트폰앱) 로그인의 비밀번호를 숫자4자리에서 영문과 숫자를 조합한 8자리 이상으로 보안을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장발권의 비밀번호는 승차권발권시간 단축 등 고객편의를 고려하여 현행대로 4자리숫자의 비밀번호를 당분간 유지하나, 향후 코레일홈페이지의 비밀번호와 일원화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변경전 변경후 홈페이지 코레일톡 4자리 숫자 8자리이상 (영문자+숫자+특수문자) 역창구 자동발매기 4자리 숫자 4자리 숫자 ※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시는 분은 레츠코레일 홈페..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 혜택은 코레일이 제공하는 기본혜택과 코레일과 제휴한 업체가 제공하는 제휴혜택이 있습니다. 코레일이 제공하는 기본혜택은 2013년 7월까지 본인이용실적의 5%를 포인트로 적립해 주는 마일리지제도가 가장 큰 장점으로 누적된 적립금을 다시 승차권을 구입하는데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포인트적립제도는 현재 KTX이용에 한하여 마일리지로 적립되며, 일반열차는 이용실적에 따른 쿠폰제공방식으로 바뀌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외 코레일이 제공하는 기본혜택으로는 주요역에 있는 코레일멤버십라운지 이용, 명절승차권 인터넷예약, 승차권 전화예매 등이 있습니다. ▲ 우리은행 (https://www.wooribank.com/) 홈페이지 ■ 우리은행 - 할인 : 미화, 유로화, 엔화 환전시 60% 우..
철도회원(코레일멤버십)을 탈회하시면 기존에 있던 개인정보를 비롯하여, 과거이용정보등도 모두 삭제됩니다. 이 과정에서 예약, 결제하고 발권하지 않은 승차권도 취소가 됩니다. 반드시 탈회를 진행하기전에 예약된 승차권이 있을 경우 홈티켓(인쇄), SMS티켓(문자), 코레일톡(스마트폰) 중 하나를 선택해 발권하거나 역창구에서 발권 후 철도회원 탈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예전에 예약부도 보증금 성격으로 받았던 2만원을 환불받을 수 있는 회원은 이 글 아래에 있는 관련 글을 한 번 읽어보시고 대상일 경우 반환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철도회원 탈회 후 재가입은 언제든 무료로 가능합니다. 1. 레츠코레일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 ▲ 레츠코레일(www.letskorail.com)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2. 로..
2013년 7월부터 철도회원제도가 대폭변경되었습니다. 이용금액의 5%를 포인트로 누적해 열차이용시 현금처럼 이용할 수 있었던 포인트적립제도가 실적누적제도로 변경되어 운영되었으며, 회원카드제작비용과 관리비용으로 받던 1만원제도는 폐지되었습니다. 회원가입 또한 코레일홈페이지, 역창구, 여행센타에서 가입할 수 있었던 것을 온라인(코레일홈페이지와 코레일톡 앱)으로만 가입할 수 있도록 일원화하였으며 마그네틱회원카드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모바일회원카드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러면 레츠코레일홈페이지에서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에 가입하는 방법을 하나씩 따라 해 볼까요? 절대 어렵지 않아요~ 1. 레츠코레일 홈페이지(www.letskorail.com)에 접속합니다. ▲ 레츠코레일홈페이지 가장 위의 '코레일멤버십 - 왼쪽메뉴..
철도회원제도는 공부를 좀 해야할 정도로 조금 복잡합니다. 먼저 철도회원의 정식명칭은 코레일멤버십입니다. 코레일멤버십 회원이 열차를 이용하게 되면 실적에 따라 KTX 이용은 마일리지적립으로, 일반열차 이용은 실적에 따라 할인쿠폰발급으로 이원화되어 관리됩니다. 적립된 마일리지는 기존의 포인트제도와 같이 승차권을 구입하거나 코레일유통매장에서 현금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가지 방식을 모두 설명하게되면 복잡해지므로 우선 일반열차를 이용하면서 적립된 실적에 따라 발급되는 전자할인쿠폰에 대해서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일리지적립기준은 이 글 아래에 있는 관련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적립이 가능한 승차권과 가능하지 않은 승차권은? 일상적으로 구입하는 승차권은 적립대상입니다.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