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정기승차권 이용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정기권을 구입하는 방법과 운임을 계산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이미 알아보았는데요. 사용이 일회성인 일반승차권에 비해 정기승차권은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소지해야 하고, 주의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그에 따른 불이익도 역시 크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 각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정기승차권은 할인율이 크고 사용도 편리한 만큼 부정사용에 대한 제재가 최대치를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정기승차권의 부정사용에 대한 불이익이 크다고 해서 사용방법까지 번거롭고 까다로운것은 아니니 몇가지만 준수한다면 경제적으로 보나 시간의 효율성으로 보나 혜택이 상당하니 사용을 적극 권합니다. 그럼 아래 스마트폰정기승차권의 그림을 보면서 주의사항을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코..
정기승차권의 종류는 어른용과 청소년용으로 구분되며, 어른용과 청소년용 정기권은 다시 각각 30일권, 20일권, 10일권으로 나뉘어 정기승차권은 총 6종이 됩니다.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매체로 따지면 중기권(카드형), SMS정기권(보안문자), 스마트폰정기권(어플) 이렇게 3종류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올해 7월14일 있었던 코레일톡의 대대적인 업그레이드 이전까지만 해도 스마트폰정기승차권은 단지 레츠코레일홈페이지에서 예약하고 코레일톡 어플로 발권만 받는 방식이었습니다. 물론 현재도 이 방식은 유효합니다.하지만 이제는 굳이 그럴 필요없이 바로 스마트폰 코레일톡 어플만으로 정기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스마트폰에서 코레일톡 어플을 실행하여 첫화면에서 정기권/패스를 선택합니다.(왼쪽그림) ▲..
코레일톡 어플로 KTX파격가할인승차권을 싸게 구입하는 방법입니다.스마트폰으로 구입하는 방법 역시 레츠코레일홈페이지에서 구입하는 방법과 구입매체만 다를 뿐 거의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레츠코레일홈페이지에서의 구입은 반드시 홈티켓이나 SMS티켓, 코레일톡어플로 발권을 해야하죠. 하지만 코레일톡 어플은 결제를 마치면 그걸로 끝입니다. 자동발권이 되니까 바로 열차에 승차하면 됩니다. 레츠코레일홈페이지에서의 구입은 열차출발 20분전까지고, 코레일톡 어플은 5분전까지이지만 파격가할인승차권이 당일까지 남아있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확정된 일정이라면 코레일톡어플로 파격가할인승차권을 구입할 때도 마찬가지로 최대한 서둘러야 30%할인, 그것도 안되면 15%할인승차권을 구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럼 스마트폰의 코레일톡..
KTX파격가할인은 KTX승차권을 싸게 구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제도입니다. 파격가할인제도는 KTX열차의 승차율에 따라 빈좌석을 활용해 운영하기 때문에 원하는 시간대에 파격가 할인좌석이 항상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KTX를 타야 할 일정이 미리 확정된 분들에게 할인승차권을 구입할 기회가 많이 돌아갑니다.파격가할인은 할인율이 많은 관계로 레츠코레일홈페이지나 코레일톡 어플 등 인터넷으로 구입해야만 할인이 적용됩니다. 파격가 할인제도는 KTX열차만 적용됩니다. 구입 후 반드시 스마트폰티켓(어플), SMS티켓(문자), 홈티켓(인쇄)으로 발권해야 하는 등 제한사항이 많습니다.기타 제한사항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파격가할인제도 제한사항- 할인대상 : 코레일멤버십회원- 구입제한매수 : 회원1인당 1..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는 경북내륙의 관광지를 순환운행하는 관광전용열차입니다. 이 열차는 무궁화호형 디젤동차(RDC)를 개조하여 4량 1편성으로 운행하며, 일반이용과 패키지여행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1호차와 2호차는 일반객실로, 3호차와 4호차는 이벤트객실로 운영합니다. 일반이용은 역창구에서 이 열차가 정차하는 역의 승차권을 구입하여 개별이용하면 되고, 패키지여행은 최소인원이 모집되어야 가능하므로 출발예정일 4~5일전까지는 예약을 하셔야 합니다. ※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는 2016.12부터 운행을 중지하고 경북나드리열차로 변경되어 운행되고 있습니다.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시간표 이 시간표는 2016.08.01 기준이며 코레일의 사정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동대구→김천→영주→안동→동대구)※ 매주 금요..
지상의 크루즈여행이라 할 수 있는 레일크루즈(RailCruise)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고 있습니다. 해외여행과 비교하면 비용이 그리 만만한 가격대는 아닙니다. 그래서 그 가격이면 차라리 해외로 나가겠다는 의견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기회가 되어 해랑의 탑승객들과 얘기를 나눠보니 해외여행을 많이 다녀본 분들이 오히려 해랑을 이용한다고 하더군요.이제는 크루즈 기차여행에서만 볼 수 있는 침대열차만의 재미는 물론이고, 국내의 유명여행지를 한번에 돌아볼 수 있도록 패키지화 된 상품을 편하게 둘러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레일크루즈의 여행비용 등 기본적인 정보(아래링크 참고)에 대해서는 이미 알아봤으니 오늘은 가볍게 차내시설에 대해서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쉽게도 스위트룸 사진은 달랑 한장입니다. 양해..
스마트폰 코레일톡 어플에서 어린이 동반유아석을 구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미 어제 '레츠코레일에서 어린이 동반유아석 구입하기'를 통해 할인율이 75%라고 했는데요. 할인율이 정말 대단하죠? 국가유공자 등에게 1년에 6회 제공되는 무임이 100%할인이지만 PSO(Public Service Obligation, 공익서비스보상) 대상으로 일정부분 정부로부터 보상이 됩니다. 반면, 동반유아석은 보상없이 할인이 되는 걸 감안하면 할인율이 가장 큰 승차권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할인율이 큰것은 어디까지나 저의 생각이지만 몇가지 고려하지 않았나 봅니다. 첫째는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비용을 지불한 것에 대한 보상차원이구요. 둘째는 좌석이 없어서 불편한 유아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또 다른 불편을 초..
동반유아석이란 함께 타는 유아를 위해 발매하는 좌석지정권입니다.유아의 기준은 만 6세미만으로 별도로 승차권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며, 보호자가 있다면 보호자 1명당 유아 2명까지 열차를 무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보호자가 좌석을 필요로 할 경우 어린이 운임의 50%를 할인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즉, 어린이승차권이 어른운임의 50%를 할인한 금액이니, 동반유아석은 어른운임의 75%가 할인되는 셈입니다. 동반유아좌석은 객실에서 별도로 지정한 위치가 있지 않으며, 보호자가 있을 경우에만 가장 가까운 좌석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즉, 유아 혼자서 승차권을 구입할 수도, 발매하지도 않는다는 것이죠 자 그럼 레츠코레일 홈페이지(letskorail.com)에서 동반유아석을 구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할 때 '코레일멤버십번호 찾기'에 이어 비밀번호 찾기를 알아보겠습니다.엄밀히 말하면 비밀번호는 찾는 것이 아니라 재설정하는 것입니다. 비밀번호는 레츠코레일홈페이지와 코레일톡 앱에서 사용하는 온라인용과 자동발매기와 역창구에서 사용하는 현장발권용 비밀번호로 이원화되어 있습니다. 굳이 이렇게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은 자동발매기와 역창구의 카드리더기에서 영문과 특수기호 등을 지원하지 못할 뿐더러, 열차출발시각이라는 제약을 받는 철도이용의 특성상 이용자의 불편이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비밀번호찾기를 클릭합니다. 등록된 이름과 회원번호를 입력합니다. ▲ 간편찾기 - 휴대전화 인증을 선택하면 등록된 이름과 휴대전화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있습니..
레츠코레일(letskorail.com)은 코레일멤버십번호, 이메일주소,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해 각각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이메일주소와 휴대전화번호는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미리 인증과 등록절차를 거쳐야 레츠코레일과 스마트폰 코레일톡 앱에서 로그인 아이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찾는 방법은 회원번호를 먼저 알아야 하므로 여기서는 회원번호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우선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회원번호 찾기는 QR인증, 간편인증, 문자인증 이렇게 세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결국은 실명인증을 통해 본인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비교적 간편한 문자인증방식으로 코레일멤버십번호(철도회원번호)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가지 인증방식 중 '간편인증'방식이 말 그대로 간편할 ..
2015년 1월 1일부터 중지됐던 군장병할인제도가 9월 25일부터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이번에 다시 부활한 할인제도는 다양한 군인할인제도중에서도 역창구나 TMO(여행장병안내소)에서 KTX이하 모든열차에 대해 10%를 할인해주는 제도입니다. 군장병 할인제도가 중지되었던것은 장애할인이나 경로할인이 장애인복지법이나 노인복지법에 의해 손실보전이 되는 것과 달리, 군인할인은 법적근거가 없고 PSO(Public Service Obligation, 공익서비스보상) 대상이 아니어서 손실에 대한 보전이 없기 때문입니다. 제도가 폐지된지 1년도 되지 않아 부활한 것은 요즘 군장병들에 대한 사기진작책이 사회적분위기로 이어지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또한 때마침 한국철도공사 국정감사에서 이 부분을 언급한것도 한 몫 거들..
KTX가 2004년 4월 개통이래 11년만에 이용객 5억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전국을 반나절생활권으로 만들어 버린 KTX는 사회, 경제, 문화 등 많은 분야에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코레일은 현재 하루 약 17만명이 이용하는 KTX가 9월19일 현재 4억9932만명으로 집계되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추석명절 이동이 시작되는 오는 24일 쯤 5억명 돌파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5억명이라는 큰 이벤트거리를 그냥 지나칠 수는 없겠죠?^^ 코레일은 5억명 돌파를 기념해서 다양한 할인이벤트를 준비했다고 합니다. 또한 할인이벤트와는 별도로 5억 번째 고객에게는 KTX특실 20회 무료이용권을 증정한다고 하는군요. 로또까지는 아닙니다만 서울-부산간 KTX특실이 83,700원이니 약 167만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