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글 아래의 관련 글 참고)을 통해 이미 예약한 승차권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이제는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즉, 이전 글을 참고해도 승차권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이 글이 추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내용의 대부분은 미등록고객의 예약 승차권을 찾는데 할애하고 있습니다. 승차권을 찾는데 흔히 미등록고객은 비회원이라고도 합니다만 엄격하게 구분하면 약간은 다릅니다. 이 부분은 미등록고객서비스(비회원서비스)와 회원의 구분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등록고객은 코레일 고객명부에 등록되지 않는 정보를 이용해 승차권을 예매하기 때문에 1회성의 로그인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때 입력하는 이름, 핸드폰번호, 비밀번호5자리가 1회성정보인데요. 승차..
이전 글을 통해 이미 예약한 승차권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이제는 하나씩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즉, 이전 글을 참고해도 승차권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이 글이 추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좀 더 자세하게 다루는 관계로 추가되는 부분도 있겠지만 이전 글과 다소 중복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 승차권 확인문제를 해결하셨다면 굳이 보실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미등록고객 메뉴는 코레일 고객명부에 등록되지 않는 정보를 이용해 승차권을 예매하기 때문에 1회성의 로그인정보를 입력하는 곳입니다. 하지만 승차권을 예약할 때나 확인할 때 미등록고객메뉴가 안보여 당황할 때가 있는데요. 한번 보시죠~ ■ 미등록고객 메뉴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어요~ ..
승차권을 선물하는 방법 8가지 중에서 마지막으로 발권승차권을 비회원(미등록고객)에게 선물하기입니다.기차표를 선물하는 방법은 조금은 복잡합니다. 보내는 입장에서는 어떤방식으로 보내든 한가지 방법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확인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처음 선물하기를 작정하고 기획한 것도 이렇게 복잡하기까지 한 선물하기를 좀 더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기획으로 준비한 선물하기 8가지가 모두 끝나면 부록으로 선물을 잘못보냈을 때 조치방법이나 선물하기는 아니지만 선물하기 효과를 볼 수 있는 유사상품(?)도 선보이겠습니다.^^ 그럼 오늘 배워볼 것 부터 일단 시작하기로 하죠. ▲ 스마트폰 앱 코레일톡을 실행하여 첫화면에서 승차권예매를 선택합니다.(위 왼쪽그림) ▲ 자신의 여행에 맞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