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이용안내 RailwayNomad 2019. 2. 10. 13:49
이전 글(글 아래의 관련 글 참고)을 통해 이미 예약한 승차권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이제는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즉, 이전 글을 참고해도 승차권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이 글이 추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내용의 대부분은 미등록고객의 예약 승차권을 찾는데 할애하고 있습니다. 승차권을 찾는데 흔히 미등록고객은 비회원이라고도 합니다만 엄격하게 구분하면 약간은 다릅니다. 이 부분은 미등록고객서비스(비회원서비스)와 회원의 구분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등록고객은 코레일 고객명부에 등록되지 않는 정보를 이용해 승차권을 예매하기 때문에 1회성의 로그인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때 입력하는 이름, 핸드폰번호, 비밀번호5자리가 1회성정보인데요. 승차..
코레일톡 사용방법 RailwayNomad 2017. 8. 22. 11:48
미등록고객서비스(비회원)를 이용해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승차권을 구입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알아 봤는데요. 복습차원에서 정리하자면 미등록고객서비스는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으로 로그인을 하지않고 일회성 정보입력만으로 승차권예매서비스를 이용하는것입니다. 그럼 이번에는 승차권예매 앱인 코레일톡에서 미등록고객서비스(비회원)를 이용해 기차표를 구입하는 방법입니다. 앱으로 구입한다고 해서 절대 더 어렵거나 복잡하지는 않으니 걱정은 휴가보내버리고 하나씩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 잠깐!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은 로그인을 미리 해놓고 예매를 진행할 수 있지만 미등록고객은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일단 예매를 진행하시다가 위와 같은 미등록고객 메뉴가 나올 경우 미등록고객을 선택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 코레일톡플러스 ..
기차이용안내 RailwayNomad 2017. 7. 9. 14:58
미등록고객서비스(비회원)는 철도회원(코레일멤버십)에 가입하지 않고 승차권 예매 등 철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이전글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미등록고객서비스를 이용해 레츠코레일홈페이지에서 직접 승차권을 구입해 보겠습니다. 그림이 많아서 다소 어렵지 않을까 생각되겠지만 직접 한번 해보시면 의외로 간단하답니다. 미등록고객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가장 중요한 한가지만 기억하세요~ 바로 ' 로그인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기억'하는 것입니다. 왜 그런지는 다음 글-'미등록고객서비스로 구입한 승차권이 보이지 않을 때'에서 상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레츠코레일(letskorail.com)에 접속하여 승차권 - 미등록고객서비스 - 승차권예약을 선택합니다. ▲ 자신의 여정에 맞게 인원, 좌석방향, ..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 RailwayNomad 2017. 7. 3. 05:29
미등록고객서비스로 승차권을 예매하는 방법을 알아보기에 앞서 '미등록고객'이란 용어에 대해 살짝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철도고객은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 일반회원, 등록고객, 미등록고객, 비회원 이렇게 다섯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생각보다 많죠? 이 구분이란 것이 저의 얕은 지식이지만 오~랜 경험을 토대로 미등록고객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정리해 본 것입니다. 제가 위와 같이 분류한 기준은 철도회원명부에 등재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철도서비스 제공측면에서 필요에 따라 다르게 불리운 것을 정리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코레일이 공식으로 분류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사용하지 않는 용어도 아니라는 것이지요. 따라서 미등록고객서비스를 이해하는데 참고는 충분히 될 것으로 감히 생각합니다. ..
코레일톡 사용방법 RailwayNomad 2016. 12. 11. 00:14
승차권을 선물하는 방법 8가지 중에서 마지막으로 발권승차권을 비회원(미등록고객)에게 선물하기입니다. 기차표를 선물하는 방법은 조금은 복잡합니다. 보내는 입장에서는 어떤방식으로 보내든 한가지 방법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확인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처음 선물하기를 작정하고 기획한 것도 이렇게 복잡하기까지 한 선물하기를 좀 더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기획으로 준비한 선물하기 8가지가 모두 끝나면 부록으로 선물을 잘못보냈을 때 조치방법이나 선물하기는 아니지만 선물하기 효과를 볼 수 있는 유사상품(?)도 선보이겠습니다.^^ 그나저나 요즘 수서고속철도SRT 개통으로 시간표 수정은 제껴두고라도 어떤 포스팅을 먼저해야할지 모를 정도로 바쁘군요ㅠㅠ 그럼 오늘 배워볼 것 부터 일단 시작..
코레일톡 사용방법 RailwayNomad 2016. 11. 29. 23:51
선물하기를 통해 받은 승차권은 대부분 스마트폰앱(코레일톡)을 통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발권해서 보낸 선물과 달리 예약해서 보낸 승차권은 비회원(미등록고객)이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역창구를 방문해야 합니다. 이 경우 선물받은 사람의 문자에 있는 예약번호와 비밀번호5자리가 선물받은 승차권 발권에 이용됩니다. 이렇게 역창구를 방문하여 승차권을 찾게 되면(발권) 스마트티켓이 아닌 종이승차권을 받게 되는데요. 예약승차권을 비회원에게 선물하는 경우는 보통 다음과 같은 경우에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대부분 연로하신 부모님이나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선물을 보낼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예약승차권을 비회원에게 선물하는 경우 - 선물받을 사람이 철도회원이 아닌 경우(비회원, 미등록고객) - 선물..
기차이용안내 RailwayNomad 2016. 11. 1. 12:21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기차표를 구입하여 선물하는 네가지 경우 중 마지막으로 '발권승차권을 비회원에게 선물하기'입니다. 발권승차권을 선물하는 것이므로 결제단계가 아닌 결제를 모두 마치고 승차권을 확인한 다음에 보냅니다. 또한 발권승차권이므로 코레일톡 앱을 실행하여 예약승차권 조회/취소에서 발권하거나 역창구에서 종이승차권으로 발권할 필요는 없습니다. 선물을 받은 분이 비회원이라도 스마트폰에서 코레일톡을 실행하여 미등록고객으로 로그인하시면 발권목록에서 선물받은 승차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물받은 승차권의 확인방법에 대해서는 별도로 상세하게 다룰 예정입니다. ▲ 천안아산역에 정차중인 KTX-산천(B타입) 복합열차 ▲ 여행일정에 맞춰 설정한 후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 선호하는 예약방식을 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