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톡 앱에서 발권승차권을 회원에게 선물하는 것이 선물하는 사람이나 선물받는 사람에게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보통 코레일톡 앱을 잘 다루는 회원끼리 선물을 주고 받을 때가 이 경우입니다.선물받은 승차권의 확인은 자신의 회원번호로 그저 로그인만 하면 될 뿐입니다. 역창구를 방문하거나, 코레일톡 앱에서 별도로 발권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 스마트폰에서 코레일톡 앱을 실행합니다.(위 왼쪽그림) ▲ 여정을 설정하고 열차조회를 선택합니다.(위 오른쪽그림) ▲ 조회된 열차중에서 원하는 열차를 선택합니다.(위 왼쪽그림) ▲ 일반실이나 특실예약가능을 선택합니다.(위 오른쪽그림의 A) 좋아하는 좌석을 직접 선택하려면 좌석선택을, 바로 예약하려면 예약을 선택합니다.(위 오른쪽그림 B) 열차출발이 가까워지면(..
승차권을 선물하는 8가지 방법 중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예약승차권 회원에게 선물하기'를 알아 보겠습니다.이 방법은 예약승차권을 발권하지 않고 회원에게 선물하는 것이니 만큼, 결제단계에서 선물하기를 선택하여 진행하셔야 합니다. 발권하지 않고 예약승차권을 보낸다는 것은, 결국 발권을 해야 승차권으로서 사용(효력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권은 선물을 받은 사람이 해야 합니다.만약 발권을 하지 않으면 해당열차의 출발시각과 동시에 선물받은 승차권이 자동취소되면서 취소수수료 15%가 청구되니 유의해야 합니다. 자 그럼 승차권 예매홈페이지인 레츠코레일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한 다음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서 하나씩 따라해 주세요. ▲ 여정을 설정하고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 선호하는 방식의 예약버튼..
승차권 전달하기란 흔히 다른 사람과 일반상품을 주고 받듯이 기차표를 온라인으로 보내고 받는 것을 말합니다. 군대간 아들(혹은 남자친구?)이나 연로하신 부모님과 같이 멀리 떨어져 있고 승차권을 예약하는데 불편함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유사한 서비스로는 '우편배송서비스'라는 것이 있었는데요. 코레일과 우정사업본부가 제휴하여 레츠코레일에서 예약한 승차권을 기차를 이용할 사람의 집까지 우편배송해주거나 당사자가 우체국에서 직접 찾는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용률 감소로 2012년 서비스가 중단되게 됩니다. 이후 최근까지는 자신의 회원번호를 알려주고 훼손재발매서비스를 이용하여 승차하도록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 방법은 서비스본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이용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