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공지사항 RailwayNomad 2020. 6. 30. 23:57
여행주간은 여름에 집중된 휴가를 분산시키는 한편 가족여행을 확대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만든 것인데요. 그래서 대부분 봄, 가을로 여행주간을 정하고 있습니다만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봄에 기간을 정할 수가 없었는데요. 생활방역으로 전환되었고 내수활성화도 도모해야 하기에 부득이 여름기간이지만 추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 2020 여행주간은 7월1일부터 7.19까지 19일간입니다. 이 기간동안 이용일자와 이용구간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자유여행패스가 바로 여행주간 레일패스입니다. 1인기준 최대 4회까지 좌석을 지정받을 수 있는 이 상품은 최소 2인이 이용해야 합니다. 여행주간 레일패스 구분 내용 판매기간 20.6.24~선착순 10,000명 판매종료시 까지 이용대상 코레일멤버십(철..
기차이용안내 RailwayNomad 2020. 5. 31. 16:59
포항역 주차장요금과 이용방법을 한번 알아볼까요. 포항역은 시내에서 버스로 약 15~20분정도의 비교적 짧은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버스는 약10분간격으로, 택시는 6~7천원이면 시내 중심부까지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코레일네트웍스가 운영하는 KTX주차장과 포항시설관리공단이 운영하는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는데요. 두곳을 합쳐 약730면의 주차가 가능합니다. 두 곳은 단순히 기본요금과 요율만으로 비교하기에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접근성이나 할인정책 등도 함게 따져보시고 그 때 상황에 맞는 곳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포항역 포항역 KTX주차장 20.06.01.현재 요금표로 운영사의 사정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구분 요금 주차면수 329면 기본 30분 1,000원 추가 10분당 30..
기차이용안내 RailwayNomad 2020. 5. 20. 00:30
긴급재난지원금의 사용이 시작되었는데요. KTX를 비롯한 열차이용할 때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지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기준일은 5월15일입니다. 혹시라도 정부지침이 바뀌면 바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한국철도(코레일)은 대전시민만, SR(수서고속철도운영사)은 서울시민에 한하여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두 운영사의 본사가 각각 대전과 서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타벅스를 서울시민만 이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럼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위에서 대전시민인지 서울시민인지의 구분은 현재 실제 거주여부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카드사에서 정부와 연계하여 구분하게 됩니다. 한국철도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안내 구입대상 대전광역시민 결제..
코레일톡 사용방법 RailwayNomad 2020. 5. 8. 15:25
코레일톡 앱의 간편현금결제 제도를 소개합니다. 간편현금결제제도란 다름아닌 계좌이체서비스입니다. 계좌이체서비스는 그동안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만 이용할 수 있었는데요. 이번에 선보이는 간편현금결제서비스는 다소 불편했던 계좌이체서비스의 인증절차를 대폭 줄여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게 한 제도입니다. 간편현금결제서비스는 2월 26일부터 시행했으며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도 공인인증절차 없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용방법은 최초 1회 계좌번호를 등록하고, 다음부터는 비밀번호만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정말 간편하겠죠? 그럼 실제 예매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혹시라도 간편현금결제서비스 메뉴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먼저 앱을 업데이트하시기 바랍니다. 활성화가 되어야 간편현금결제계좌를 등록할 수 있으니까요. ..
버스시간표 RailwayNomad 2020. 4. 6. 12:20
경부선 사곡역이 2020.4.10부터 영업을 완전 중지하면서 그동안 합니다. 사곡역은 그동안 역무원이 없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해왔지만 적은 이용객수, 안전관리, 인접역과의 짧은 운행거리 등이 영업을 중지할 만한 요인으로 보이는데요. 2023년에 경산~구미간 대구권광역철도가 개통하게 되면 이 문제들은 자연스럽게 해결이 되리라 봅니다. 사곡역이 영업을 중지하면서 대체교통수단으로 구미역~사곡역간에는 25인승 셔틀버스가 운행합니다. 하지만 셔틀버스는 광역철도 개통때까지가 아닌 올해 9월 30일까지만 운행이 예정되어 있으며 연장여부는 그 때 결정됩니다. 셔틀버스 운행시간표 사곡역 출발 구미역 출발 출발 도착 출발 도착 05:53 06:07 06:51 07:06 06:18 06:33 20:08 2023 19:..
열차시간표 RailwayNomad 2020. 2. 19. 22:18
강릉선의 일부구간인 강릉~동해간을 운행하는 셔틀열차 시간표입니다. 이 셔틀열차는 서울-동해간 강릉선 KTX 개통에 맞춰 신설되었는데요. KTX 중 일부가 강릉역에서 동해역까지 연장운행하지 않고 정동진을 경유하다보니 강릉역과 동해역간 연계교통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셔틀열차는 4량 고정편성의 누리로 8개 열차가 투입하게 됩니다. 기존에 운행하던 바다열차와 영동선열차에 KTX와 셔틀열차까지 더해지니 교통편의성은 한층 나아지고 활력도 생길듯 합니다. 또한 이 구간은 바다열차와 대부분의 구간이 겹치므로 꼭 연계수송으로 이용하지 않더라도 관광열차 기분을 한 것 느낄 수 있습니다. 강릉선 셔틀열차 시간표 (2021. 11. 25 업데이트) 운영사의 사정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강릉→동해 열차번호 강릉 정동진 묵호..
열차시간표 RailwayNomad 2020. 2. 17. 23:34
3월2일부터 운행을 시작하는 동해방면 KTX시간표입니다. 하루 4회 왕복하는 동해행 KTX는 기존의 강릉행 열차가 연장하여 운행하는 것이 아니라 강릉선과 영동선을 연결한 신선을 이용하게 됩니다. 즉, 같은 강릉선이지만 목적지만 다르다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강릉역에서 연장하여 동해역까지 운행하면 여러모로 좋겠지만 지하역사인 강릉역의 선로사정 등 불가피한 점으로 인해 새로운 선로을 이용하는 방법을 택했다고 하네요. 아뭏든 비록 운행횟수가 많지는 않지만 동해로 바로가는 KTX가 개통되고, 여기에 강릉↔동해간을 연계셔틀열차가 추가로 투입될 예정이니 동해안 접근성은 훨씬 좋아질 듯 합니다. ▲ 서울역 타는곳 14번에서 출발하고 있는 강릉행 KTX-산천(Type-B) 강릉선(서울→동해) KTX시간표 (From Se..
기차이용안내 RailwayNomad 2020. 1. 24. 16:13
철도정기승차권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것들을 모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이 사고 많이 이용하면 깎아 주는 것이 상거래의 기본이자 인지상정이죠. 철도정기권 역시 이와 다르지 않습니다. 그것도 파격적으로 할인해 주기 때문에 일주일에 4일이상 철도를 이용한다면 무조건 정기권 구입을 추천합니다. 우선 철도정기승차권의 장단점을 간단히 알아보고 시작하죠. 정기승차권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탈 수 있기 때문에 바쁜 출퇴근시간에 승차권 구입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이용횟수에 재한을 두지 않기 때문에 하루에 몇 번을 이용해도 괜찮습니다. 무엇보다 운임을 절반이상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장점입니다. 굳이 단점을 꼽으라면 좌석을 지정해서 앉을 수 없다는 것인데요. 최근에 KTX의 경우 추가 좌석운임만 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