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기차표를 구입하여 선물하는 네가지 경우 중 마지막으로 '발권승차권을 비회원에게 선물하기'입니다. 발권승차권을 선물하는 것이므로 결제단계가 아닌 결제를 모두 마치고 승차권을 확인한 다음에 보냅니다. 또한 발권승차권이므로 코레일톡 앱을 실행하여 예약승차권 조회/취소에서 발권하거나 역창구에서 종이승차권으로 발권할 필요는 없습니다. 선물을 받은 분이 비회원이라도 스마트폰에서 코레일톡을 실행하여 미등록고객으로 로그인하시면 발권목록에서 선물받은 승차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물받은 승차권의 확인방법에 대해서는 별도로 상세하게 다룰 예정입니다. ▲ 여행일정에 맞춰 설정한 후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 선호하는 예약방식을 클릭합니다. 자동으로 좌석을 배정받아 예약할 때 특실의 예약하..
기차표를 선물하는 방법 중에서 받는 사람 입장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여기서 설명할 '발권승차권을 회원에게 선물하기 '입니다. 왜냐하면 마치 선물받은 사람이 예매한 것 처럼 코레일톡 앱의 승차권발권목록에 선물받은 승차권이 들어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별도로 예약/취소메뉴에서 발권을 하거나, 역창구에 방문하여 발권할 필요 없이 바로 확인하고 승차하면 됩니다. 이 방법은 선물을 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레츠코레일이나 코레일톡에서 승차권을 예매하는 방법에 익숙한 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설명은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부터 시작합니다. ▲ 일정을 설정하고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 자동으로 좌석배정을 받는 예약하기나, 선호하는 좌석을 지정하는 좌석선택을 클릭하여 예약합니다. ▲ 정..
수서발 고속열차 SRT의 개통이 올해 연말로 성큼 다가온 가운데 운영사인 (주)에스알이 지난 27일 운임요금을 공개했습니다. 일반실의 최저운임은 7,500원이고, 특실의 최저운임요금은 10,900원으로, 코레일이 운영하는 KTX의 운임요금에 비해 운임은 약 10%정도 낮게 책정되었는데요. KTX의 특실요금은 운임의 40%를 할증하고 있는 반면, SRT는 이보다 5% 정도 높은 45% 할증으로 책정한 것이 인상적입니다. 참고로 수서에서 부산이나 목포까지의 거리보다는 서울이나 용산에서 출발하는 것이 거리가 더 멀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호 비교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다고 보구요. 절대적인 금액비교는 천안아산~부산, 천안아산~목포 구간처럼 코레일과 에스알이 완전히 중첩되는 구간에서 확인하는 것이 명확할 것입니다..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예약한 승차권을 비회원에게 선물하는 방법입니다.이 방법은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연로하신 부모님이나, 승차권 구입 앱 '코레일톡'을 설치할 수 없는 구형 핸드폰 등을 소지하신 분에게 승차권을 보내드릴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이 방법 역시 예약승차권을 보낸 것이므로 승차권의 발권이 반드시 필요하답니다. 또한 코레일톡 앱으로 발권할 수 없는 분에게 선물을 보낸 것이니 만큼, 반드시 역창구를 이용하여 종이승차권으로 발권을 받아 승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열차출발시각이 지나면 예약승차권은 자동으로 취소되고, 취소수수료 15%(출발 후 적용)가 청구되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위의 승차권 선물하는 방법 8가지 중 '6.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예약승차권 비회원에게 선물하기' 설명 ..
승차권을 선물하는 8가지 방법 중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예약승차권 회원에게 선물하기'를 알아 보겠습니다.이 방법은 예약승차권을 발권하지 않고 회원에게 선물하는 것이니 만큼, 결제단계에서 선물하기를 선택하여 진행하셔야 합니다. 발권하지 않고 예약승차권을 보낸다는 것은, 결국 발권을 해야 승차권으로서 사용(효력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권은 선물을 받은 사람이 해야 합니다.만약 발권을 하지 않으면 해당열차의 출발시각과 동시에 선물받은 승차권이 자동취소되면서 취소수수료 15%가 청구되니 유의해야 합니다. 자 그럼 승차권 예매홈페이지인 레츠코레일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한 다음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서 하나씩 따라해 주세요. ▲ 여정을 설정하고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 선호하는 방식의 예약버튼..
철도파업으로 KTX를 제외한 간선 일반열차의 운행감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일반여객운송을 담당하는 열차가 대폭 감축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관광전용열차는 운행이 전면 중단 되었습니다. 해랑, 바다열차, 교육열차(E-train), 팔도장터열차, 지역별테마열차는 파업이 종료될때까지 운행이 중단되며, 그외 관광전용열차는 아래의 운행중지열차시간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승차권 반환은 홈페이지나 코레일톡, 역창구를 통해 구입한 관광전용열차의 승차권은 1년이내에 전액반환이 가능합니다. 그외 단풍열차와 같이 여행사나 역에서 모집을 하여 출발하는 테마열차의 경우엔 최초 모집한 곳을 통해 반환청구를 하시면 됩니다. 이 운행중지열차시간표는 11.7~11.30 기간동안 유효합니다.관광열차 운행중지요일열차번호(열차종류)출발역(출발..
철도파업이 09월 27일 시작된 이래 벌써 일주일을 넘기며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파업초기 KTX와 ITX-새마을, 무궁화호에 국한된 운행감축도 광역전철까지 확대되었으며, 오는 10월 10일까지 파업이 종료되지 않을 경우 ITX-청춘열차까지 추가로 감축운행하게 됩니다. 파업기간동안 유의 하실 것은 실제 운행하는 열차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포털에서 찾지 마시고 공식사이트에서 확인하시는 것입니다. KTX, 일반열차 등 간선열차는 레츠코레일홈페이지( www.lestskorail.com )나 스마트폰 어플인 코레일톡에서, 광역전철은 코레일전철톡에서 확인하시는것이 운행중지정보를 반영한 가장 정확한 정보입니다. 아래 시간표는 2016.10.10~ 파업종료시까지만 유효합니다. 운행중지 경춘선 ITX-청춘 ※ IT..
승차권 전달하기란 흔히 다른 사람과 일반상품을 주고 받듯이 기차표를 온라인으로 보내고 받는 것을 말합니다. 군대간 아들(혹은 남자친구?)이나 연로하신 부모님과 같이 멀리 떨어져 있고 승차권을 예약하는데 불편함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유사한 서비스로는 '우편배송서비스'라는 것이 있었는데요. 코레일과 우정사업본부가 제휴하여 레츠코레일에서 예약한 승차권을 기차를 이용할 사람의 집까지 우편배송해주거나 당사자가 우체국에서 직접 찾는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용률 감소로 2012년 서비스가 중단되게 됩니다. 이후 최근까지는 자신의 회원번호를 알려주고 훼손재발매서비스를 이용하여 승차하도록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 방법은 서비스본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이용해온..
철도파업이 09월 27일 09시부터 시작될 예정으로 일부열차의 운행이 조정됩니다. KTX는 정상운행되지만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는 평소의 60%정도 운행되므로 열차이용에 불편이 예상되고 있습니니다. 따라서 기차이용에 앞서 아래의 운행중지열차를 확인하시고, 예매한 승차권이 있다면 반환 또는 다른 열차로 변경하여 이용하거나 타 교통수단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늦은 시간대에 귀가하거나 지역 특성상 기차만 이용해야 할 경우엔 미리 귀가를 서두르거나 다른 교통수단의 운행시간까지도 감안하여 볼일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운행중지 열차시간표는 2016.11.8~11.30 까지만 유효합니다. 운행중지로 인한 승차권반환은 1년이내에 가능하며, 수수료는 전액 감면처리됩니다. 파업기간 실제 운행하..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9월 8일 목요일부터 2016 추석 KTX 특별상품을 파격적으로 할인하여 발매합니다. 이번 특별할인 대상열차는 추석이전에는 상행열차가, 추석이후에는 하행열차에 집중되므로 기존에 KTX역귀성할인상품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겠네요. 구입은 레츠코레일홈페이지, 스마트폰 어플인 코레일톡에서 가능하며, 올해 추석부터는 역창구에서도 구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별할인은 대상열차의 모든좌석에 해당되지 않고 일정수량 한정되어 있으므로 조기에 매진될 수 있습니다.인터넷 구입과 코레일톡 어플에서의 구입방법은 이 글 아래에 있는 관련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역귀성 특별상품 구입방법 - 대상기간 : 상행 2016.9.14, 하행 2016.9.16~9.18- 판매대상 : 코레일멤버십 회원(..
역창구나 자동발매기에서 실적적립을 하기 위해서 멤버십번호를 확인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하지만 막상 찾으려고 하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을 때도 있지요. 수시로 로그인을 하면서 예약을 하시는 분이 아니라면 10자리숫자로 된 멤버십번호를 외우기란 쉽지 않습니다.너무나 간단한 것이지만 알아 보겠습니다. 코레일톡 앱에서 코레일멤버십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내용은 그동안의 포스팅에 비해 조금 부실하다고 느끼실 수 있겠지만 날씨도 덥고 하니 포스팅 하나 거저 먹더라도 이해해 주세요^^ 자 시작해 볼까요?~~ 먼저 이 방법은 코레일톡앱의 로그인화면에서 회원번호저장이나 자동로그인에 체크하여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로그인을 할 수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즉,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고 회원번호를 입력해야 한다면 굳이 알..
코레일멤버십(철도회원)에 가입하는 방법은 온라인과 현장가입 두가지가 있습니다. 온라인은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와 코레일톡 앱을 이용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앱에서 가입하는 방법은 최근에야 업데이트 되었는데요, 가장 간편하고 빠르게 가입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장가입방법은 역을 방문하여 여행센터나 역무실에서 직원의 도움을 받으며 할 수 있는것으로, IT에 취약한 어르신이나 장애인 등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참고로 코레일멤버십에 가입이 완료되더라도 물리적 멤버십카드는 발급되지 않고, 바코드나 QR코드로 대신한 모바일멤버십카드가 발급됩니다. 자 그럼 코레일톡 앱에서 철도회원에 가입하는 방법을 알아 볼까요?먼저 스마트폰에 코레일톡 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코레일톡 앱을 실행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