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전원콘센트 좌석위치와 급속충전기
- 기차이용안내
- 2015. 8. 25. 14:49
KTX는 2004년 개통이래 2016년말까지는 전원콘센트가 없었는데요.
여기서 'KTX'라 함은 KTX-산천이나 KTX-강릉을 제외한 1세대 KTX(아래그림)만을 지칭합니다.
이렇게 KTX에 전원콘센트가 없었던 것은 KTX를 처음 설계하고 제작한 당시를 보면 어쩌면 무리가 있었고 당연한 결과물로 생각됩니다.
2004년 개통 때 투입된 KTX 대부분은 제작과 시운전까지 5년이상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설계는 1998년이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당시엔 PC통신시절로 고속열차에서 노트북과 스마트폰 사용을 예상이나 했을까요?
이후 부족하지만 220V 전원콘센트 1개와 USB포트 2개를 1조로 해서 객차의 각 창과 창사이에 설치를 하였습니다.
이 포스팅을 시작으로 노트북을 사용하거나 핸드폰을 무료충전할 수 있는 전원콘센트 좌석위치에 대해 열차종류별로 계속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 1세대 KTX. 한국고속열차시대의 창립멤버라고 할 수 있겠네요.
▲ KTX에는 각 창과 창사이에 전원콘센트 1개와 USB포트 2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창쪽의 좌석을 지정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겠네요.
충전기가 없다면 급한대로 아래의 유료급속충전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설치위치 : 5,8,13,17호차
- 이용요금 : 1천원(천원권 지폐만 이용가능)
- 충전시간 : 30분(배터리 기준)
- 충전가능기종 : 안드로이드폰(갤럭시, LG등) 및 아이폰, 아이패드
▲ 아쉬운대로 급속충전기를 이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운전실(서울쪽) ← |
→ 운전실(부산쪽) | ||||||
■ |
5호차 |
■ |
8호차 |
13호차 |
■ |
17호차 |
■ |
▲ KTX - 급속충전기가 있는 호차
※ 5, 8호차의 급속충전기는 서울방면쪽에 있고, 13, 17호차의 급속충전기는 부산방면쪽에 있습니다. (급속충전기는 객실밖에 위치 - 위 ■ 표시 참고) |
급한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화장실이 공용공간이기 때문에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습니다.
따라서 핸드폰이 완전방전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처럼 정말 급할 때가 아니라면 화장실 본래기능이 방해되지 않도록 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 KTX의 화장실에 있는 면도기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220V와 110V 공용소켓.
※ 참고로 면도기전용콘센트라 남자화장실에만 전원콘센트가 있지 않을까요?
아닙니다. 남, 여, 장애인, 공용화장실 등 KTX의 모든 화장실에는 위와 같은 콘센트가 있습니다.
운전실(서울쪽) ← |
→ 운전실(부산쪽) | ||||||||
1 |
2 |
4 |
6 |
8 |
11 |
13 |
15 |
17 |
18 |
▲ KTX - 화장실이 있는 호차
※ 1, 2, 4, 6, 8호차의 화장실은 부산방면에 있고, 8, 11, 13, 15, 17, 18호차의 화장실은 서울방면에 있습니다. |
■ 열차의 전원콘센트 관련 글
'기차이용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 추석 명절 기차표 창구예매 가능한 기차역 목록 (0) | 2015.08.29 |
---|---|
설날, 추석 명절 기차표 창구예매 가능한 대리점(여행사) 목록 (0) | 2015.08.29 |
KTX 전원콘센트 좌석위치와 급속충전기 (0) | 2015.08.25 |
설날, 추석 명절 기차표 예매 성공노하우 - 창구예매 (0) | 2015.08.22 |
의무경찰(의경)의 철도할인 이용방법 (0) | 2015.08.13 |
신형 KTX-산천(타입B) 좌석배치도 (0) | 2015.06.10 |
이 글을 공유하기